특정 상품의 가격과 다른 개념으로, 시장 상황을 대표한다고 여겨지는 상품들의 평균적인 가격 수준을 의미합니다. 이 '대표적인 상품'들에 어떤 것이 몇 개씩 포함되는지에 대해서는 객관적 기준이 없기 때문에, 그것을 정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다소 추상적인 지표입니다.
물가 수준이 '너무 높거나 낮다'고 말할 수 있는 절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화폐의 단위를 따져보면 우리나라의 물가는 미국의 1,000배, 일본의 10배 수준이지만, 거래 단위가 우리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합니다. 물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숫자의 절대적인 크기가 아니라 그것이 변화하는 방향과 빠르기, 즉 물가의 '상승률'에 달려있습니다.
물가가 오르는 경우를 인플레이션, 내려가는 경우를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경제학계의 보편적인 견해는, '과도한 인플레이션'과 '모든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치명적이라는 것입니다. 현대 국가의 정부 또는 중앙은행에서는 보통, ‘적절한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은행의 목표 물가상승률은 2%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가의 상승은 시간에 따라 개인이 보유한 현금의 실질적인 교환 가치를 떨어뜨려 불편을 야기하지만, 그래서 한편으로는 적절한 소비와 투자를 유도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은 괜찮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반면 물가가 하락하여 디플레이션에 돌입하게 되면 현금을 들고 있는 것만으로도 돈을 버는 상황이 되어 생산 활동이 매우 위축되는데, 그 상태를 확실하게 해소한다고 알려진 방법이 없기 때문에 엄격한 경계 대상으로 취급됩니다.
상품 가격은 보통 원자재의 가격, 노동자에게 지불된 임금, 자본 마련에 소요된 비용 그리고 생산자 자신의 노동에 매긴 임금의 합산입니다. 정부는 원자재나 노동력, 경제 심리에 관련된 정책을 통해 물가상승률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을 조절하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화폐의 발행 속도와 금리를 조절하는 것이며, 이는 중앙은행의 가장 대표적인 기능입니다.
엄밀히 따지면, 물가와 개인의 생계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특정 상품의 가격이 올라 생계가 어려워지더라도, 구매하려는 물건의 가격이 오른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그 물건을 판매하려는 다른 누군가의 소득이 오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개인의 재정적 어려움을 유발하는 것은 시장의 평균적인 물가가 아닌, 그가 파는 상품 및 노동력 가격의 ‘상대적’ 하락입니다.